| 해외 |
|---|
Moody's
A3
Fitch
A-
S&P
A-
|
| 국내 |
|---|
한국신용평가
AAA
나이스신용평가
AAA
한국기업평가
AAA
|
| 등급 | 등급 | 정의 |
|---|---|---|
| 투자 적격 등급 |
Aaa | 안정성 최상위급. |
| Aa1 | 안정성 상위급. 위험성은 적은 편이나 경제상황에 따라 소폭 변동 가능 |
|
| Aa2 | ||
| Aa3 | ||
| A1 | 안정성 평균 이하. 투자적격 등급 중 가장 낮은 등급 경제 상황에 따라 위험성 변동 |
|
| A2 | ||
| A3 | ||
| Baa1 | 투자 부적격 등급이나 원리금 상환은 가능. 안정성이 관련 산업의 여건 및 회사의 운명 등에 따라 변동, 전반적인 신용 등급이 다른 등급으로 조정될 가능성 높음 |
|
| Baa2 | ||
| Baa3 | ||
| 투자 부적격 등급 |
Ba1 | 투자 부적격 등급이나 원리금 상환은 가능. 안정성이 관련 산업의 여건 및 회사의 운명 등에 따라 변동, 전반적인 신용 등급이 다른 등급으로 조정될 가능성 높음 |
| Ba2 | ||
| Ba3 | ||
| B1 | 투자 부적격 등급으로 원리금 상환 가능성 불확실. 안정성 경제상황, 관련 산업여건 및 회사의 운명 등에 따라 크게 변동. 신용등급이 다른 등급으로 조정될 가능성이 있음 |
|
| B2 | ||
| B3 | ||
| Caa1 | 투자적격 등급에 크게 떨어짐. 원리금 상환 가능성이 의문시 |
|
| Caa2 | ||
| Caa3 | ||
| Ca | ||
| C | ||
| - | 부도상태 |
| 등급 | 등급 | 정의 |
|---|---|---|
| 투자 적격 등급 |
AAA | 안정성 최상위급. |
| AA+ | 안정성 상위급. 위험성은 적은 편이나 경제상황에 따라 소폭 변동 가능 |
|
| AA | ||
| AA- | ||
| A+ | 안정성 보통으로 적절한 수준. 경제 침체 시에는 위험성이 다소 증가 | |
| A | ||
| A- | ||
| BBB+ | 안정성 평균 이하. 투자적격 등급 중 가장 낮은 등급 경제 상황에 따라 위험성 변동 |
|
| BBB | ||
| BBB- | ||
| 투자 부적격 등급 |
BB+ | 투자 부적격 등급이나 원리금 상환은 가능. 안정성이 관련 산업의 여건 및 회사의 운명 등에 따라 변동, 전반적인 신용 등급이 다른 등급으로 조정될 가능성 높음 |
| BB | ||
| BB- | ||
| B+ | 투자 부적격 등급으로 원리금 상환 가능성 불확실. 안정성 경제상황, 관련 산업여건 및 회사의 운명 등에 따라 크게 변동. 신용등급이 다른 등급으로 조정될 가능성이 있음 |
|
| B | ||
| B- | ||
| CCC+ | 투자적격 등급에 크게 떨어짐. 원리금 상환 가능성이 의문시 |
|
| CCC | ||
| CCC- | ||
| CC | ||
| C | ||
| RD | 제한적 부도상태 | |
| D | 부도상태 |
| 등급 | 등급 | 정의 |
|---|---|---|
| 투자 적격 등급 |
AAA | 안정성 최상위급. |
| AA+ | 안정성 상위급. 위험성은 적은 편이나 경제상황에 따라 소폭 변동 가능 |
|
| AA | ||
| AA- | ||
| A+ | 안정성 보통으로 적절한 수준. 경제 침체 시에는 위험성이 다소 증가 | |
| A | ||
| A- | ||
| BBB+ | 안정성 평균 이하. 투자적격 등급 중 가장 낮은 등급 경제 상황에 따라 위험성 변동 |
|
| BBB | ||
| BBB- | ||
| 투자 부적격 등급 |
BB+ | 투자 부적격 등급이나 원리금 상환은 가능. 안정성이 관련 산업의 여건 및 회사의 운명 등에 따라 변동, 전반적인 신용 등급이 다른 등급으로 조정될 가능성 높음 |
| BB | ||
| BB- | ||
| B+ | 투자 부적격 등급으로 원리금 상환 가능성 불확실. 안정성 경제상황, 관련 산업여건 및 회사의 운명 등에 따라 크게 변동. 신용등급이 다른 등급으로 조정될 가능성이 있음 |
|
| B | ||
| B- | ||
| CCC+ | 투자적격 등급에 크게 떨어짐. 원리금 상환 가능성이 의문시 |
|
| CCC | ||
| CCC- | ||
| CC | ||
| SD | 선택적 채무불이행 상태 | |
| D | 부도상태 |
| 등급 | 정의 |
|---|---|
| AAA | 원리금 지급확실성이 최고수준으로 투자위험도가 극히 낮으며, 현단계에서 합리적으로 예측 가능한 장래의 어떠한 환경변화에도 영향을 받지 않을 만큼 안정적임 |
| AA | 원리금 지급확실성이 매우 높아 투자위험도가 매우 낮지만 AAA등급에 비해 다소 열등한 요소가 있음 |
| A | 원리금 지급확실성이 높아 투자위험도가 낮은 수준이지만 장래 급격한 환경변화에 따라 다소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있음 |
| BBB | 원리금 지급확실성은 인정되지만 장래 환경변화로 지급확실성이 저하될 가능성이 있음 |
| BB | 원리금 지급확실성에 당면문제는 없지만 장래의 안정성 면에서는 투기적 요소가 내포되어 있음 |
| B | 원리금 지급확실성이 부족하여 투기적이며, 장래의 안정성에 대해서는 현단계에서 단언할 수 없음 |
| CCC | 채무 불이행이 발생할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어 매우 투기적임 |
| CC | 채무 불이행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 상위등급에 비해 불안요소가 더욱 많음 |
| C | 채무 불이행이 발생할 가능성이 극히 높고 현단계에서는 장래 회복 될 가능성이 없을 것으로 판단됨 |
| D | 원금 또는 이자가 지급불능 상태에 있음 |